즐겨찾기에 추가 | 시작페이지 등록 | 뉴스레터 / RSS e-대한사진영상신문 | e-포토이미징 바잉가이드 | NEWS | PMShop
 
   포토뉴스 | 기획기사 | 아카데미 | 커뮤니티 | PM쇼핑 실시간 인기 검색어 :
현재위치 : HOME > 기획기사 > 탐방

갤러리탐방_사진공간 배다리 14-06-26 12:08   
작성자 : 관리자 TEXT SIZE : + -

갤러리를 넘어 인천지역문화공간의 중심역할을 하는 ‘사진공간 배다리’를 찾아서

동인천역 부근에 자리한 ‘배다리’는 토박이 인천 사람이라면 누구에게나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친숙한 지명이다. 배다리는 보통 ‘배를 이어 붙여 만든 다리’라는 의미로 쓰이지만 인천의 경우는 ‘배가 닿는 마을’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쇠락의 길을 걷던 이 ‘배다리’ 동네는 최근 여러 문화단체들이 모이면서 인천지역을 대표하는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그 중심에 사진 갤러리인 ‘사진공간 배다리’(관장, 이상봉 www.uram54.com)가 있다.
이에 본보에서는 ‘사진공간 배다리’의 이상봉 관장을 만나 오픈 배경과 하는 일 및 향후 계획 등 다양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 편집자 주 -

▲ ‘사진공간 배다리’의 이상봉 관장

●‘사진공간 배다리’ 오픈 배경
‘사진공간 배다리’는 지난 2012년 5월, 한때 서점들로 유명했던 인천 동구의 헌책방 골목에서 문을 열었다. 그리고 불과 2년 만에 점점 잊혀져가던 그 골목으로 사람들의 발길을 다시 불러 모으는 보물 같은 공간이 됐다.
‘사진공간 배다리’는 지역 문화공간이 필요하다는 사회적 필요성과 이상봉(1955년 생) 관장 개인의 아쉬움이 합쳐져 개관을 하게 된 사진문화공간이다.
“인천지역에서 사진 활동을 하면서 많은 혜택을 받았기 때문에 지역에 대한 책임감이랄까, ‘나도 뭔가 해야 하는 게 아닌가’라는 생각을 가지게 됐어요. 그러다 보니까 잘 안 되고 있는 것들이 많이 보이더라고요. 예를 들면, 인천은 광역시인데도 사진 갤러리가 없었어요. 다른 지역의 사진작가를 초대해 전시회를 열려고 해도 그럴 수가 없는 거예요. ‘부족한 저라도 나서봐야겠다’라는 마음에 시작하게 된 겁니다. 주변의 많은 분들이 동참을 해주셨습니다.”

●‘사진공간 배다리’는 다양한 공간 운영
“지난 2012년 5월20일에 첫 전시회를 열었으니까 ‘사진공간 배다리’가 문을 연지도 만 2년이 되었습니다.”
‘사진공간 배다리’의 특색은 다양한 공간으로 이뤄졌다는 점이다. 먼저 사진전시와 아카데미 교육을 하는 갤러리 1관과 사진인들이 모여 대화하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카페 공간 및 서점 역할을 하는 커뮤니티관(2관, 갤러리 1층에 위치)이 그 중심에 있다. 또한 인천사진아카이브연구소(소장, 이영욱)는 사진집과 철학서적 1천여 권 이상을 소장하고 있으며 세미나, 토론의 장, 강좌, 사진 자료관으로써의 역할을 하는 열린 공간이다.
이밖에도 지난해 10월, 인천 차이나타운에 문을 연 쉼터 ‘자율 게스트하우스’가 있다. 이곳은 인천에 오는 타지의 사진인이 하룻밤 쉬고 갈 수 있는 게스트하우스 성격의 쉼터 공간이다.

●‘사진공간 배다리’가 하는 일 & 해야 할 일
2년이라는 짧은 기간이지만 사진공간 배다리는 지역적인 특색을 살린 여러 의미 있는 프로젝트와 전시 이벤트를 치러냈다.
인천 지역 재개발 현장의 모습을 담아낸 ‘폐허 속에서 발견된 오브제’(2013.8)展은 참여작가 수만 40명에 달하는 대형 프로젝트였다. 올해에는 사진과 인문학을 접목시킨 새로운 시각의 사진 탐색 프로젝트 ‘2014년 창작 워크숍-해안선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촬영단을 모집하고 있다. ‘해안선 프로젝트’는 1년 동안 인문학(이론)+촬영(실기)+전시+출판을 아우르는 워크숍 방식의 장기 프로젝트이다.
인천 동구 송현동의 양키시장을 다룬 김보섭 사진전 ‘양키시장’(2013.3~4), 배다리 주민들의 산업도로 반대 투쟁을 담은 ‘'강's 배다리 Photo Story 展-배다리 사진 이야기, 창영동 사는 이야기’(2013.1~2), 김승혜 사진전 ‘배다리 헌책방’(2013.12~2014.1) 등 지역 소재의 전시회뿐만 아니라 많은 작가들의 전시회를 열고 있다.
사진공간 배다리는 지역사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대형 기획전시뿐 아니라 영정사진 촬영 봉사, 장애인 다문화 가정 등을 위한 무료사진 촬영 봉사 같이 지역사회에 뿌리내릴 수 있는 활동을 여러 지역 사진가들과 주도하고 있다.
이밖에도 갤러리의 의무(?)라고 할 수 있는 사진작가 공모 이벤트에서도 독특한 자기만의 색깔을 만들어 가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진행하는 ‘문학과 사진’ 공모전이다. 시, 소설, 수필, 희곡 등 문학작품을 사진으로 표현하거나 두 영역을 접목시키는 작업을 하는 사진가를 선발해 전시와 포스터, 기타 홍보 활동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사진공간 배다리 갤러리 입구(왼쪽 계단)와 커뮤니티관 전경 (사진 출처 : 사진공간 배다리)

▲ 사진공간 배다리 갤러리 내부 모습 (사진 출처 : 사진공간 배다리)

▲ 인천사진아카이브연구소 내부 모습 (사진 출처 : 사진공간 배다리)


●‘사진공간 배다리’ 운영 방식
‘사진공간 배다리’의 운영은 대관 중심이 아닌 초대전 중심이다. 물론 대관을 원하는 작가가 있으면 다 받아준다. 대신 포트폴리오, 작가와의 만남, 작가의 작업과정을 오픈해야하는 약간의 단서조항이 있다.
“올해는 그동안 계속해온 ‘문학과 사진’ 공모전, 인천 신인작가 발굴 등에 한층 신경을 쓸 예정입니다. 제가 직장(학교)생활을 하다 보니 놓치는 것이 많습니다. 그래서 10여 명의 운영위원 분들께 한 파트 씩 기획을 맡아달라고 부탁하고 있습니다.”
초대전 작가를 선정하는 데는 나름대로 역할 구분이 있다. ‘사진공간 배다리’의 학예연구실장 겸 디렉터로 있는 이영욱 교수는 주로 젊은 작가 위주로 초대전을 기획한다. 반면 이상봉 관장은 중견 작가 위주로 의미 있는 전시를 꾸민다.
“나름대로 비전을 가지고 노력하는 작가를 초대하려고 합니다. 특히 이영욱 교수님은 신인들에게 발표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주려고 하십니다. 그분들이 여기서 전시회를 열었다는 자긍심을 갖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배다리 사진 아카데미는 이영욱 교수 외에도 수준 높은 강사진들이 포진해 있다. 상명대 사진아카데미의 김세미 교수(사진 기초 강좌), 계원예술대학교 평생교육원의 마틴 리 교수(사진예술)(예술사진 연구), 한겨레신문의 곽윤섭 기자(사진은 테마다), 재능대학 사진영상미디어과 김보룡 특임교수(창작과 표현) 등이 강좌를 진행하고 있다.
“강사진은 교수급 수준의 분들로 구성하고 있으며, 주제와 테마가 있는 강좌를 개설하고 있습니다. 다른 곳에서 들을 수 없는 인문학 중심의 강의와 다양한 테마의 사진강좌를 하다 보니 ▲사진을 많이 접하셨던 분 ▲전시도 하신 분 ▲더 많은 걸 알고 싶어 하는 등 어느 정도 실력이 있는 분들이 들으러 오십니다.”
이상봉 관장은 사진공간 배다리가 사진인들이 ‘노는 공간’이 되기를 바라고 있다.
“장기적으로 보면 인천에도 사진축제가 있으면 좋겠어요. 서울, 대구, 영월 등 다른 지역에서는 사진 축제 및 비엔날레가 열리는데, 인천은 아직 그렇지가 못해요. 사진축제가 열려서 사진인들이 많은 혜택을 받고, 그 안에서 어울릴 수 있는 기반을 만드는 게 ‘배다리’의 역할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어쨌든 ‘배다리’를 통해서 사진가들이 마음껏 놀 수 있는 공간을 지속해서 제공해 주는 게 꿈이라면 꿈입니다.”
이상봉 관장에게는 또 다른 꿈이 있다. ‘처음 갤러리를 열고자 했던 꿈에 이어 독립된 아카데미 공간을 갖고 싶다’는 것이다. 이는 ‘넉넉한 공간에서 많은 분들을 모시고 그곳에서 다양한 교수, 강사 분들과 사진, 인문, 철학 강의를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것이다.
이상봉 관장이 처음 카메라를 만진 것은 고등학생 시절로, 취미로 시작한 것이 어느덧 이력이 붙어 2010년 첫 개인전을 연 뒤 매년 전시회를 이어오고 있다. 또한 이상봉 관장은 인천 혜광학교(시각장애 특수학교)에서 컴퓨터와 수학을 담당하는 교사다. 혜광학교 사진동아리 ‘잠상’의 지도교사를 맡아 시각장애 학생들에게 사진을 가르치고 있는 이상봉 관장은 ‘사진공간 배다리’의 첫 개관전으로 자신이 지도한 학생들의 사진전, ‘보다(2012.5)’展을 열었다.
이상봉 관장은 요즘 ‘예술에서 사진의 위치가 어떤 것인가?’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져본다고 한다. 그 답은 결국 ‘사진공간 배다리’가 가야할 길인지도 모른다.
“사진을 예술작업으로 하는 사람들의 숫자는 미술이나 문학을 하는 사람들보다 더 많은데 정작 목소리를 거의 못 내고 있어요. ‘사진하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져야 하지 않나?’... 그런 등등의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취재 / 김성종 기자

제목 내용 제목+내용   
TOTAL 266 ARTICLES
(주)아비즈가 운영하는 ‘북스미스’ 프로앨범 사업부를 찾아서
(주)아비즈가 운영하는 ‘북스미스’ 프로앨범 사업부를 찾아서 “올해, (주)아비즈 ‘북스미스’ 사업부에선 사진 스튜디오 및 스냅 작가들에게 온오프라인 마케팅을 통한 고품질의 프로 앨범과 다양한 포토 ...  more ▶
2015-06-23  
갤러리탐방_사진공간 배다리
갤러리를 넘어 인천지역문화공간의 중심역할을 하는 ‘사진공간 배다리’를 찾아서 동인천역 부근에 자리한 ‘배다리’는 토박이 인천 사람이라면 누구에게나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친숙한 지명이다. 배다리는 보...  more ▶
2014-06-26  
불황속 호황을 구가하는 ‘스튜디오 호감 아산점’을 찾아서
- 스튜디오 호감 아산점의 전용철 대표를 만나 아산점 오픈 동기와 매출 향상 비결을 듣는다 - 몇 해 전까지만 해도 ‘새해가 되면 달라질 것’이라는 희망을 품었다. 하지만 이제는 그것도 옛 얘기인 듯하다. ...  more ▶
2014-06-26  
갤러리탐방_SPACE22
“사진·미술 대안공간 ‘SPACE22’는 복잡한 도심 한복판에서 잠시 숨을 고르고 여유를 찾게 하는 갤러리입니다” - ‘SPACE22’의 윤승준 관장을 만나 갤러리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듣는다 - 강남역 사거...  more ▶
2014-06-03  
갤러리탐방_라카페 갤러리
“박노해 시인의 사진전에서 사진 속 현장을 직접 만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 이지은, 허윤정 나눔문화 연구원으로부터 라 카페 갤러리의 전시 현황과 향후 계획을 듣는다 - 서울시 종로구 부암동. 산...  more ▶
2014-02-19  
(주)니콘이미징코리아, 니콘 F시리즈의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D…
(주)니콘이미징코리아, 니콘 F시리즈의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Df 체험 세미나’ 개최 - 지난 11월20일과 21일 이틀 간 서울을 비롯해 대전, 대구, 부산, 울산, 광주에서 열려 - (주)니콘이미징코리아(대표, ...  more ▶
2013-11-26  
인천, 부천지역 스튜디오 운영자들의 스터디 모임, ‘가감포토’…
- 지난 2000년에 결성된 ‘가감포토’의 설립 동기와 교육 현황 및 향후 계획을 현정 고문으로부터 듣는다 - 경기 침체로 매년 최악의 상태를 기록하며 살얼음판을 걷고 있는 사진 스튜디오들이 많다. 많은 스튜디...  more ▶
2013-10-29  
세기P&C(주) 신관 2층에 오픈한 ‘소니 방송카메라 체험존’으로…
- 지난 7월22일, 세기P&C(주)가 새로 오픈한 ‘소니 방송카메라 체험존’ 오픈 동기와 기대효과를 이 회사 박길수 씨로 부터 듣는다 - 사진과 영상의 경계가 조금씩 허물어지는 요즘, 영상분야에 관심을 갖는 사...  more ▶
2013-08-28  
캐논스토어 창원점/(주)줌인
“서부 경남지역 유일의 캐논 전문매장‘캐논 스토어 창원점’은 전문성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소비자들을 만족시키고 있습니다” - 지난해 4월, 창원 중심지 상남동에 캐논 스토어 창원점을 오픈한 (주)줌인의 김...  more ▶
2013-07-24  
캐논 스토어 대전점 / (주)카메라대학병원
“역사와 전통의 카메라 전문매장 ‘캐논 스토어 대전점’은 캐논 제품 판매는 물론 애프터서비스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해 드리고 있습니다” - 수중 촬영 등 다방면에서 사진 활동을 하면서 소비자들과 진심으...  more ▶
2013-06-25  
캐논 스토어 광주점 / 지스토어(주)
“호남지역 유일의 캐논 전문매장, 캐논 스토어 광주점은 모든 서비스를 친절하고 정확하게 제공해드립니다” - 지난 2011년 9월, 광주시 임동에 오픈한 캐논 스토어 광주점의 김윤수 대표를 만나 기업 운영 현황 ...  more ▶
2013-06-25  
아기와풍차
정성과 배려를 바탕으로 고객의 신뢰를 높여가는 베이비사진 전문 스튜디오, 아기와풍차를 찾아서 - 베이비사진 독립 브랜드 ‘아기와풍차’ 이병주 대표를 만나다 - 예전부터 베이비사진은 백일·돌 중심의 ...  more ▶
2013-02-19  
장애우에게 봉사하는 바라봄사진관
착한 사진가 ‘나종민’, 국내 최초의 장애우를 위한 스튜디오 ‘바라봄사진관’ 개관 - 억대 연봉 마다하고 사진으로 제2의 인생 설계, 장애우 가족사진 무료 촬영하며 재능 기부를 실천하는 바라봄사진관의 나...  more ▶
2013-01-21  
스튜디오 비바터치
“스튜디오 비바터치에선 인위적으로 꾸며진 사진이 아닌, 보이는 그대로 프레임 속 아름다움을 찾아 낼 것입니다” - 웨딩 본식 스냅사진에 리얼리즘을 가미한 사진을 촬영하는 비바터치의 김대현 대표를 만나다 -...  more ▶
2012-11-16  
리쟌앨범
“리쟌앨범은 스튜디오 중심의 사진 시장 뿐 아니라 사진 외적 시장과도 연계해 비즈니스 범위를 넓혀가고 있습니다” - 설립 1년 만에 ‘슬립인박스’와 ‘미소북’으로 국내 사진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리쟌...  more ▶
2012-11-16  
1 [2] [3] [4] [5] [6] [7] [8] [9] [10]
회사소개 | 서비스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고제휴 | 정기구독 | 저작권정책
상호 : 대한사진영상신문사 / 사업자번호 : 201-01-19486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동6가 103-7 2동 102호
대표자 : 연정희 / 전화 : 02-2632-4585~6 / 팩스 : 02-2634-4587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연정희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2-서울영등포-1286호
Copyright © 2001-2010 대한사진영상신문사. All Rights Reserved.